분류 전체보기
-
자바스크립트 즉시실행함수 :: 마이구미Javascript 2016. 7. 25. 00:54
이번 글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즉시실행함수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한번 쯤은 봤을 것이고, 궁금증을 가졌을 것이다.표기법은 많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쓰인다. (function() { console.log("!!"); }()); 일단 먼저,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를 표기할 때 크게 두 분류로 나뉜다.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이다. 한 가지 더 나누자면 즉시실행함수로 볼 수 있다.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 다뤄볼 예정이다. 즉시실행함수는 이름 그대로 즉시 실행하는 함수이다.즉, 선언과 동시에 실행이 된다. function fn() { conosle.log("!!"); } var fn = function() { conosle.log("!!"); } fn(); // fn함수 호출 //선언..
-
|| , && 연산자 사용법 [javascript] :: 마이구미Javascript 2016. 7. 24. 16:46
이번 글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때 유용한 팁들을 알아볼 것이다.어려운 내용이 아니라 쉬운 내용이다.하지만 또 쉬운 내용이라고,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알고있다면 훨씬 좋은 팁들이다.시작해보자. 1. 함수 인자를 통한 변수 초기화 (|| 연산자) function documentTitle(theTitle) { if (!theTitle) { theTitle = "Untitled Document"; } } 위의 코드는 함수를 통해 인자를 전달 받아 theTitle 변수에 인자의 값을 할당해주는 것이다.하지만 인자가 없을 경우를 위해 이런 식으로 많이 if문을 통해 사용할 것이다.이러한 처리를 할 때는 아래와 같이 이용해보자. function documentTitle(theTitle) theTitle = t..
-
[웹표준] Table 태그에 대해 알아보자 :: 마이구미HTML, CSS 2016. 7. 22. 13:43
이번 글은 table에 관련된 웹 표준 및 접근성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 글 이후부터 웹 표준 및 접근성에 대한 글을 다룰 예정이다. 웹 개발에서 있어서 웹 표준 및 접근성이 중요하다. 간단히 말하자면, 웹 표준은 어떤 브라우저에도 동일하게 보여져야한다. 웹 접근성은 어떤 사용자나 환경에서도 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해가 보장되어야한다. (장애인들을 위함이다.) 본인은 크로스 브라우저만 고려하여 기능적인 부분만 잘 돌아가는 지만 항상 확인했다. 하지만 그건 나 스스로 웹 개발자라고 하기엔 부끄러운 생각이었다. (반성반성) 중요하다. 지금부터라도 잘 준수하자. 본론으로 넘어가자. table 태그는 가급적으로 쓰지말고 div로 처리할 수 있으면 하는 게 좋다. 하지만 테이블 구조가 필요하다면 억지로 div로..
-
map태그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알아보자 :: 마이구미HTML, CSS 2016. 7. 21. 20:19
이번 글은 map 태그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요즘 지식인활동을 가끔하고 있어서 지식인을 통해 글을 쓸 주제거리가 생겨난다.아는대로 최선을 다해 하나하나 알려주는 착한 지식인이다.1:1 질문해주면 아는 한 알려주도록 노력하겠다. 지식인 질문에 올라온 내용은 이렇다.a태그를 사용하여 특정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PC에서는 잘 되는데, 모바일에서는 a태그를 활용한 이동이 안된다는 질문이었다. a태그는 모두가 잘 알고 있을 것이고, 많이 사용하는 태그이다.새로운 페이지를 열거나 이동하고 싶을 때 또는 내부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하고 싶거나 할 때 사용한다.굳이 예를 들자면, 누르면 저기로 이동하자 여기로 이동 a태그를 누르면 '여기로 이동' 텍스트가 있는 div영역으로 이동한다. 자, 이제 map 태그에 대해 알..
-
방화벽 위한 iptables 설정 [CentOS] :: 마이구미리눅스 2016. 7. 20. 00:51
이번 글은 방화벽 설정에 대한 iptables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많은 기능들이 있는데 다 생략생략생략. 딱 필요한 내용! 방화벽 설정에서 포트에 대해 필요한 것들만 실습을 통해 알아본다! 실습은 Nodejs와 함께 진행하겠다. 필요한 건 당연히 서버, 그리고 NodeJS에 대한 살짝의 지식? 해봐야알기 때문에 따라할 수 있게 진행할 것이기 때문에 NodeJS 살짝만. express 프로젝트까지는 만들었다고 가정하겠다. express는 그냥 Nodejs의 프레임워크다. ( http://expressjs.com/ko/starter/installing.html 모른다면 요기요기 ) var express = require('express'); var app = express(); app.get('/', f..
-
백준 1834번 나머지와 몫이 같은 수 :: 마이구미알고리즘 풀이/수학 2016. 7. 19. 16:25
이번 글은 백준 알고리즘 1834번 문제를 다뤄보겠다.문제의 제목은 "나머지와 몫이 같은 수" ..흠 뭔가 쉬워보인다.하지만 정답률은 34% 낮은 편이다. 난 수학을 좋아했지만 못한다....난 그냥 노가다다.. 걍 노가다 하다보면 규칙이 나올 때가 있지 않느냐?이 문제도 그렇다. 일단 문제를 보자.N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와 몫이 같은 모든 자연수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N=3일 때, 나머지와 몫이 모두 같은 자연수는 4와 8 두 개가 있으므로, 그 합은 12이다.문제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이런 문제 나오면 난 그냥 규칙부터 찾아본다.일단 나머지는 나누는 수보다 클 수 없을테고...뭐 이런 것들 생각해볼 수도 있지만 일단 걍 해보자. N = 1일때는 없군,N = 2일때는..
-
robots.txt 파일에 대해 자세히 보기 :: 마이구미웹 관련 2016. 7. 17. 21:54
자아아 이번 글은 robots.txt 파일에 대해 알아보자! 뭔지 모르는 사람도 많을 거라 생각한다. 혹시 검색에 대해 궁금증을 가져본 적이 있는가? "어떤 원리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검색이 나올까?"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이것에 대해 쪼끔 다뤄볼 예정이다. 구글이나 네이버 등 이러한 검색사이트들은 자체적으로 검색 로봇들을 가지고 있다. 검색 로봇이 크롤러라고 생각하면 된다. 검색 로봇은 사용자처럼 웹 페이지들을 수집하여 색인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색인들을 통해 빠른 검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자신이 지금 사이트를 운영하거나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 사용자 분석을 해봤을 것이다. 그 때 해외에서도 들어왔다면 좋아하지말고 로봇일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도대체 이 글의 주제인 robots.txt 요놈은..
-
Github 기본 설명서 3편 :: 마이구미GitHub 2016. 7. 17. 15:20
이번 글은 세번째 Git에 대한 글이다! 안 읽었다면 이전 글들을 읽고 오길 바란다. 지난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협업을 할 때 필요한 것들을 알아볼 것이다. 지난 글들에서의 간단한 흐름은 이렇다. 1. GitHub에 진행되는 프로젝트의 저장소가 존재한다. 2. 소스를 수정한다. 3.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로 push한다. 그렇다면 협업이 실제로 개발이 진행될 때의 흐름을 알아보자. 1. GitHub에 진행되는 프로젝트의 저장소가 존재한다. 2. 브랜치를 생성한다. 3. 소스를 수정한다. 4.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로 push한다. 위의 흐름에서 개인과 협업의 차이로 보면 "브랜치를 생성한다." 라는 걸 볼수 있다. 사실 상 개인적으로 사용할 때도 브랜치를 만들어 사용해도 되긴 된다. 하지만 이해를 ..